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8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9일차 25.06.276:00 기상 (06: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 (45%)세바시 영상 (100%)25.06.28 7:00 기상러닝'타이탄의 도구들' 독서세바시 영상 세바시 1989회 : 말 잘하는 사람이 대화할 때 조절하는 3가지[본 것] 말할 때 신경써야 하는 것 3가지 : 말의 빈도, 말의 속도, 말의 온도 실수를 무서워하지 않고 도전하고 실수의 빈도를 늘리면 나만의 길이 생긴다. 잘 못하도 이상하더라도 계속 하다보면 잘하게 된다.말을 했을 때 내 속이 시원하면 오지랖이고, 마음이 아프면 조언이다. 받아 들일 수 있는 말의 단계는 사람마다 다르다.말의 온도를 맞출 수 없을 땐 그 말을 안하는게 낫다. 빈도와 속도를 맞추더라도 온도가 다르면 좋은 대화가 힘들다. [느낀 점 및 적용할 점] 3가지.. 2025. 6. 27.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8일차 : 오늘이라는 선물 25.06.266:00 기상 (07: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 (40%)세바시 영상 (100%)25.06.27 6: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세바시 영상세바시 인생질문 97회 : 내가 하고 싶은 일과, 했을 때 재밌는 일의 차이[본 것]1.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명' - 소크라테스, "숙고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특정한 말을 계속 되뇌인다고 숙고인가? 숙고의 본질은 '질문'이다. 내가 정말 원하는 바를 스스로에게 묻고 답을 찾아보자. Q1.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Q2. 나는 무엇을 할 때 가장 즐거운가?Q3. 나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내가 하고 싶은 일과 해서 즐거운 일이 다를 수 있다. 또한 해야만 하는 일을 했을 때 얻어지는 또 다른 기쁨이 있다.그러나 1, 2번.. 2025. 6. 26.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7일차 : 직업은 꿈을 위한 도구다. 25.06.256:00 기상 (07: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 (30%)세바시 영상 (100%)25.06.26 6:00 기상 '타이탄의 도구들' 독서 세바시 영상세바시 237회 : 직업을 버리고 꿈을 찾다[본 것] "저의 직업은 백희성입니다."꿈은 직업이 맞는가? 그림을 잘 그리던 신동에게 주변인들은 화가가 될거라 했으나, 판토마임 예술가가 됨. 그는 "나는 꿈을 버리지 않았다, 허공에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가장 아름다운 붓은 손, 몸짓, 표정이다.' 라고 함. 직업은 단지 꿈을 위한 도구이다. 꿈은 하나지만 직업은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최고가 되어야 한다, 반드시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려라. 달리는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이다. 달릴 수 있어서 행복하다. 달리다가 힘들.. 2025. 6. 25.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6일차 : 끈기 25.06.246:00 기상 (6: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 (10%)러닝 4.06km세바시 영상 (100%)25.06.256:00 기상독서세바시 영상 세바시 성장문답 : 열등감을 극복하고 싶은 당신이 반드시 들어야 할 대답[본 것]넓은 세상을 만날 때 열등감은 줄어들고, 작은 성취를 경험할 때 자신감이 회복된다.책을 읽으면 자신의 장점 대해 많이 알게 된다.글을 쓰고 책을 발간하는 과정에서 출판사가 폐업하기도 함. 그러나 글로 뜨겠다는 결심을 포기하지 않고, 하루에 2-3개씩 글을 쓰고 1년에 100권 독서를 10년 이상 지키며 살아옴. 신문 칼럼에 기고하다가 해고 당하기도 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훈련함. 14-15년 쯤 되니 느낌이 오고 대충 써도 사람들이 감동했다고 함. [느낀 점 및.. 2025. 6. 24.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5일차 : 부자가 되는데 있어서 경쟁자는 결국 천재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다. 25.06.236:00 기상 (7:00 기상)'세이노의 가르침' 2회독세바시 영상 (100%)25.06.246:00 기상'타이탄의 도구들' 독서러닝세바시 영상세바시 성장문답 : 인생의 철학이 없어서 고민하는 당신이 반드시 들어야 할 대답[본 것]인생은 자기를 표현하는 과정이다. 나의 본성을 잘 표현하며 살아가자.인간이라는 종(종)으로서의 본성 : 자기중심적 이기적 본성(일, 놀이, 사랑), 이타적 본성(연대)개인으로서의 본성(개성) : 인간으로서의 본성을 어떻 내용으로 어떻게 결합하냐. 어떤 직업을, 어떤 놀이를, 어떤 방식의 사랑을, 어떤 형태의 연대를 하는지.사람마다 성격도 가치관도 방향성도 다 다르다.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중요하기 보다는, 본성을 어떤 식으로 결합해서 살아가느냐가 내면에서 설명.. 2025. 6. 23.
[패스폴리오 자기혁신] 74일차 : 많이 읽고 많이 써라. 25.06.227:00 기상 (7:00 기상)'세이노의 가르침' 독서 (90%)세바시 영상 (100%)25.06.236:00 기상'세이노의 가르침' 독서러닝세바시 영상세바시 인생질문 1986회 : AI시대, 미래를 결정하는 ‘과학 문해력’을 키우는 법.[본 것] 문해력(글을 읽고 이해하고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독해력(글을 보고 이해하는 능력)21세기엔 국영수가 더욱 중요하다. 과학 문해력이란, 과학(수학)과 문학(국어, 영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AI를 조수로 삼을지 적수로 삼을지는, 우리의 ‘언어 능력’에 달려있다. [느낀 점 및 적용할 점] ‘국어를 못하면 다른 과목도 모두 못한다’는 말은 학생 때부터 친구들 사이에 유명한 얘기였다. 문제에서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캐치해낼 줄 알아.. 2025. 6. 22.
반응형